본문 바로가기

관심사【세상을 여는 힘】

[코로나100일] 한국 "얻은 이익" 천문학적

반응형

두달만에 우려국서 모범국으로 K방역이 뜬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가 4월 28일 현재 국내에 유입된지 100일을 맞은 가운데 한국이 “방역 모범국”으로 평가 받고 있다.

이처럼 성공적인 비결은 크게 3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 첫째: 대량검사를 통한 “조기진단과 신속한 환자 분류 체계.

⏩ 둘째 : 의료진의 헌신적인 노력과 검사비 무료.

⏩ 셋째 : 사회적 거리두기와 “높은 시민의식” 이다.

이렇게 삼박자가 조화를 이룬 결과 전세계가 극찬하고 인정하는 나라로 우뚝 섯다.

불과 두 달여 전만 해도 코로나19 대유행으로 중국과 함께 가장 위험한 나라로 꼽혔던 우리나라는 이제 고유의 방역 시스템인 “K방역”을 전 세계로 홍보하고 수출하는 수준까지 발전했다.

2개월 전 세계 각국에서 한국인의 출입을 봉쇄하는 발표를 볼 때마다 안타까움과 우리 조국에 대한 자존심으로 몸부림치며 아파 했었다.

다행히도 미국은 끝까지 한국인 출입을 막지 않았기에 지금(국방비 관련 외에 도 마음에 들지 않는 부분이 많지만)의 트럼프를 개인적으로 미워하지 않는다.

현재 전 세계 국가들이 앞 다퉈 우리나라에 방역 노하우를 공유해달라고 요청하고 있다. 무엇보다 이동 금지 명령 등 국민 기본권을 침해하지 않고 방역 성과를 달성했다는 점에서 한국 모델이 글로벌 표준으로 자리를 잡고 있다.

메르스 교훈 기억해 빠르게 위기 극복

지난 2월 중순부터 3월 초까지 우리나라는 코로나19 확진자가 급증해 곤욕을 치렀지만, 그 이후부터는 빠르게 안정을 찾아갔다.

2월 말과 3월 초 일일 확진자 수가 두 차례 800명대를 기록하던 것이 3월 중·하순부터는 100명대로 급감했고, 지난 4월 6일에는 46일 만에 50명 이하로 떨어졌다. 최근에는 확진자 수가 10명 안팎을 기록 중이다.

증상 발현 2~3일 전부터 바이러스를 배출하고, 젊고 건강할수록 아무런 증상이 나타나지 않는 코로나19의 고약한 특성 때문에 방역당국이 잠시 우왕 좌왕했지만, 후속 연구가 이뤄지면서 방역 체계가 더 단단해졌다.

물론 이 같은 방역 성과를 거둔 배경은 대량검사와 확진자 조기진단이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지만, 이것이 전부는 아니다. 지난 2015년 한국을 휩쓴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MERS) 교훈을 잊지 않은 덕분에 코로나19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었다는 평가다.

우리나라는 수년 전부터 신종 감염병 국내 유입과 생물테러 등을 대비한 모의 훈련을 전국 단위로 진행하고 평가했다. 이를 통해 감염병 재난 위기관리 표준 매뉴얼과 지침을 보완하고, 입국검역, 국가지정 입원 치료병상 관리, 즉각대응팀 파견 등을 매년 점검했다.

이 모의훈련에는 질병관리본부뿐만 아니라 지방자치단체, 공공기관, 의료기관이 함께 참여했다. 이 같은 시전 준비가 없었다면 지금 같은 성과를 기대하기 어려웠다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그 덕분에 코로나19 유입 이후 입국검역을 시작으로 환자 분류, 치료가 신속하게 이뤄질 수 있었다. 과학에 근거한 방역 시스템이 코로나19와의 싸움에도 위력을 발휘했다.

확진 판정을 받을 경우 코로나19 검사비를 정부가 부담하는 결정을 내린 정책적 판단도 주요했다. 정부가 수 십만원의 검사비를 환자에게 부담시켰다면 적극적으로 확진자를 찾아내는 것은 불가능했을지 모른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언제 어디서든 무료로 검사를 받을 수 있는 시스템을 갖췄다. 여기에 의료기관 문턱을 확 낮춘 전 국민 건강보험 체계도 코로나19 방역 수준을 끌어올린 숨은 공로자다.

우리나라 건강보험 체계는 해외 선진국에 비해 보장률이 낮고 의료쇼핑 문제 등이 있지만, 의료기관 접근성만큼은 세계적인 수준이다.

최근 10여년 동안 어려운 여건 속에서도 연구개발(R&D)에 매진해온 국내 바이오업체들의 진단키트 생산능력도 이번 코로나19 사태 기간에 K방역을 전 세계에 알렸다.

현재 한국산 진단키트와 진단시약은 전 세계에 수출되고 있다. 품목허가 절차가 까다로운 미국 시장에도 진출했다. 2월 64만2500달러(약 8억원)이던 한국산 진단키트 수출액은 4월 1일~20일 사이 1억3195만달러(약 1619억원)를 기록했다.

의료진 헌신 그리고 시민의식…국가 이미지 개선. 천문학적 효과

코로나19 사태를 빠르게 잠재운 진짜 주인공은 의사와 간호사, 의료기사, 간호조무사 등 의료진과 행정인력, 자원봉사자들이다.

지난 2월 26일 코로나19 광풍이 부는 대구에 의료진과 병원 직원 205명이 생업을 잠시 멈추고 대구로 달려갔다.
의료봉사 후 2주간 자가격리를 진행하는 만큼 대구 의료봉사를 통한 경제적 이익을 전혀 기대하기 어렵다. 그런데도 수천명의 의료진이 신종 감염병에 감염될 위험을 무릅쓰고 환자 진단과 치료에 헌신했다.

사회적 거리두기에 대한 “국민들의 높은 참여율과 시민의식”도 K방역에 엔진 역할을 했다. 방역당국은 정례브리핑 때마다 확진자가 크게 줄어든 비결로 의료진 헌신과 높은 시민의식을 꼽았다.

코로나19는 호흡기를 통해 전파되는 특성상 집 밖으로 나가면 마스크를 반드시 착용해야 한다. 현재 일주일에 구매할 수 있는 마스크는 아직 3개 뿐이지만, 길거리에서 마스크를 쓰지 않는 사람을 찾기 어려울 정도다.

외국의 경우 대다수가 마스크를 쓰지 않는 사람들이고, 거기에 해변가로 수많은 인파가 몰리는 외국과 대조적인 모습이다. 이런 시민의식에서 K방역은 한국만 가능하다는 얘기가 나오는 것이다.

급기야 세계보건기구(WHO) 한스 클루게 유럽담당 이사는 지난달 17일(현지시간) 언론 브리핑에서 코로나19의 감염을 억제하는 데 성공한 모범적인 사례로 한국과 중국, 싱가포르를 꼽았다.

그러나 싱가포르는 현재 코로나19가 다시 확산세로 접어들었고, 중국은 봉쇄령을 통해 시민 피해가 컸던 만큼 국민 이동을 제한하지 않은 K방역이 글로벌 표준으로 부상했다.

이번 코로나19 사태로 우리나라가 얻은 유무형의 이익은 천문학적이라는 분석이 많다. 현재까지 40여개국에서 한국의 방역 경험, 검역이나 진단검사, 자가격리 관리, 치료 지침 등을 공유해 달라고 요청해왔다.

상기 내용은 news1의 기사를 바탕으로 재편집 되었습니다.

반응형